스띠브 블로그

EMC 규격 본문

전자파 응용 공학

EMC 규격

스띠브 2023. 3. 7. 22:16
반응형

1. 국제 규격

 

전자파장해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1970년대에 국제적으로 EMI 규제가 먼저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전기• 전자장치의 확대, 보급에 의해 전자 파환경이 더욱 악화되어 전자파장해 현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자 1990년대에 들어 EMS에 대한 구제도 EU(European Union; 유럽연합)를 중심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전 자파규격은 통상 ENC 규격을 지칭하고 있으며 EMC 규격 중에는 EMI 규격과 EMS 규격이 있다. 여기서는 주로 전자파 규격에 대해 설명한다.


(1) ISO


ISO는 1946년 창립되었으며 물질과 서비스의 국제 교환을 수월하게 하고, 지적, 과학적, 기술적 및 경제활동 분야에 있어서 국제간의 협력을 조장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규격의 심의 제정 촉진을 꾀한다. 그리고 무역의 확대 • 품질개선• 생산성 증대 및 원가절감 등을 지향한 전 세계적인 국제규격에 관한 합의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IEC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전기표준위원회)는 1906년 창립되었으며 IEC 목적은 전기에 관한 국제규격의 통일과 협조를 촉진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취급되는 전문적인 사항에 대해 국제적으로 일치된 사항을 담 은 추천규격(TEC Publication)을 발행한다. 또한 모든 회원국이 국가규격을 제정할 때, 이 추천규격을 준하도록 강력하게 권고하고 있다.
TEC 전문 업무는 전기기술 전반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전력 • 전자• 전기통신 및 원자력 에너지에 관한 것까지도 포함된다. 크게 나누어 다음과 같이 2개의 부문으로 분류된다.
• 공통된 표현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모든 나라의 전기기술자 간의 상호 이해를 깊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일이다. 여기에는 전기 용어의 통일, 양과 단위 및 그것들의 기호와 약호, 도표에 사용되는 그림기호에 관한 합의가 포함된다.
• 전기재료의 전기특성 연구를 포함한 전기기기의 표준화이다. 여기에는 특성• 시 험방법 • 품질 • 안전성 및 기계와 전기기기의 교환성에 관계되는 치수에 대해 기기에 주어지는 보증의 표준화가 포함된다.
참고로 ISO, TBC는 비정부 기구이지만, 국제기구 전문기관으로 각 국제기관과 연관을 맺고, 특히 국제연합 경제사회이사회에서의 자문적 지위를 갖는 외에 표준화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그 밖에 많은 정부 간의 기관과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3) CISPR


CISPR(국제무선장해특별위원회)는 1934년에 설립되었으며 전자파장해에 관한 국제 협약에 따라 국제 무역 진흥을 위하여 다양한 제품 즉, 전기 • 전자기기 및 정보기기 등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장해 관련의 측정방법 및 한계치를 조사하는 국제 심의기구이다. CISPR은 IEC의 특별위원회로 그 위치는 다른 특별 위원회와는 다르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그 구성원이 전자파장해에 관한 통제(관리)에 관련된 여러 국제기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CISPR의 규격은 자율규격으로 법적 강제성을 지닌 것은 아니나 모든 참여국가의 협의에 의해 제정되는 국제적 합의사항이다. CISPR는 이와 같이 제정된 규격에 대한 국제적인 조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각 국가 IEC 위원회에게 해당 국가의 정책이 허용하는 한 CISPR 규격을 국가규격으로 채택할 것을 권장하며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법적 의미를 지닌 국가규격으로 승화된다.


(4) ITU


ITU는 국제연합 산하 전문기구의 하나로 본부는 제네바에 있으며, 1932년에 발족되 었다. 전기통신의 발전 및 합리적 이용을 위한 국제협력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각국의 전기통신 주관 청이 중심이 되어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는 조직으로는 전기통신 표준화 분야인 ITU-T와 전파통신 분야인 ITUR이 있다. 특히 전파통신 분야를 주로 다루는 ITU-R의 기능은 이동, 위성, 고정통신을 포함한 모든 전파통신 및 방송업무에 있어서 무선주파수 스펙트럼의 합리적이고 공평하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이용을 보장하도록 모든 주파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전파통신 문제에 대한 권고를 채택하는 것이다.


2. 지역 규격(EN 규격)

 


유럽에 있어서 EMC 분야는 EC(European Community; 유럽공동체) 지침 [89/336/EEC]
의 공포와 함께 CENELEC(European Committee for Electro technical Standardization;
유럽전기표준화위원회의 통일된 기준인 EN 규격(European Norm; 유럽규격)으로
1996년 1월 1일부터 강제 규제토록 되어 있다. 즉, 현재 유럽으로 향하는 수출제품은 CE 마킹을 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현존의 유럽규격인 EN 규격의 기술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CE는 불어식 표기인 Comunite Europeen(유럽 공동체)의 머리글자로서 안전과 건강 관련의 제품에 대해서는 EC 이사회 지침에 의해 CE 마크 표시가 의무화되었다.
EC 이사회 지침 93168/EEC(1993년 7월 22일자)에서는 종래의 CE 마크를 CE 마킹으로 명칭을 바꾸고 CE 마킹의 형상, 수치, 표시 방법 등을 통일하였으며 다른 마크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인정하였다.
CENELEC은 EC 및 EFTA(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유럽자유무역연합)의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임무는 회원국 내에서 판매되는 각종 전기 • 전자기기 및 정보기기 등에 대한 EC의 기술기준을 제정(작성)하고 EC 통합에 관련한 유럽 통합 규격을 심의 • 제정한다. CENELEC과 CISPR의 차이점은 CISPR가 자성한 기준은 국가 간의 강제력을 가지지 않지만, CENBLEC에서 제정된 EN은 모든 회원국 국가위원회에 강제 채용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모든 회원국은 EN 규격의 내용과 동등한 규격으로 국가 기준을 제정해야 한다. 1994년 1월 1일부터 유럽공동체 (EC)의 명칭을 유럽연합(EU)으로 변경하였다.
EN 규격은 CEN(유럽표준화위원회) 및 CENELEC에서 작성된다. EN 규격은 국제 규격인 ISO, IEC, CISPR 등의 규격에 정합시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작성하고 있지만 국제규격이 존재하지 않는다든지 검토 중인 경우, 독자 규격도 작성하고 있다.
EN 규격은 기본 규격(Basic Standards), 제품군 규격(Product Family Standards) 또 는 제품 규격(Product Standards), 그리고 공통 규격(Generic Standards)으로 분류된다.
기본 규격은 제품군 규격에 의해 인용되는 것을 가정하여 작성되고 있고 시험 방법 등 기본적인 사항을 기술하고 있다. 기본 규격으로 대표적인 것에는 IEC 61000-4시 리즈가 있는데 이는 시험 방법에 관한 기본 규격이고, 대부분이 전자파내성 시험받은 법을 규정하고 있는데 IEC의 TC(Technical Committee; 전문위원회) 77에서 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표 11.1은 IEC 610004 시리즈 규격을 보여주고 있다.

반응형

'전자파 응용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MPEST  (0) 2023.03.08
Ch.3 전자파 정보 누설  (1) 2023.03.08
측정기기 및 센서류 EMC 안테나  (0) 2023.03.07
측정기기 및 센서류  (0) 2023.03.04
EMC 의 목표  (0) 2023.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