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무선항해시스템
- 오늘은양자역학
- RFID 기술
- 재미있는양자역학
- 양자역학도잘만알면도움된다
- 전파주파수
- 팀페리스
- RFID 시스템의 종류
- 오늘도양자역학한숟갈
- RFID 시스템
- RFID응용
- 전자파응용
- 전쟁
- 전자파공학
- 전자파응용공학
- 우크라이나
- RFID시스템의 종류
- 전자파이론
- 오늘의전자파
- 양자컴퓨터개발
- 자청
- RFID표준화
- rfid시스템
- 자기계발
- 안테나기술
- 모르면어쩔수없고
- 자기개발
- 러시아침공
- 양자역학은누구나알면좋다
- 양자컴퓨터의현재
- Today
- Total
목록시사를 읽자 (18)
스띠브 블로그
유럽 의회, 러시아를 "테러의 국가 후원자"로 선언 유럽의회 의원들은 수요일 상징적인 움직임으로 러시아를 "테러의 국가 후원국이자 테러 수단을 사용하는 국가"로 인정하면서 유럽연합에 "러시아를 국제적으로 더욱 고립시킬 것"을 요구했다. EU 의회는 "러시아군과 그 대리인들이 우크라이나 민간인들을 상대로 저지른 고의적인 공격과 잔학 행위, 민간 인프라 파괴 및 기타 심각한 국제 및 인도주의 법 위반"을 고려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으며, 이는 "테러 행위에 해당하며 전쟁 범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보도자료는 "EU가 현재 테러지원국으로 국가를 공식 지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의회는 EU와 회원국들에 적절한 법적 틀을 마련하고 러시아를 그러한 목록에 추가하는 것을 고려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구속력이 없는..

1. 먼저 돈의 속성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김승호 돈의 속성이라는 제목에 대해서 나는 별 거부감이 없었는데 (요즘 돈에 관심이 많다 보니) 아니 사실 누구나 가장 큰 관심사이면서도 너무 대놓고 돈의 속성이라는 제목에 대해서는 왠지 불편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았던 것 같다. 김승호 회장도 처음 원고를 넘길 때 출판사에서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 후로 돈의 ~~ 라는 제목의 책이 백권 이상 출판되었다고 한다. 책 속에도 많이 나오는 내용이지만 우리는 돈에 관해서 이야기하면 속물 취급을 하거나 뭔가 저속한 듯한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건 정말 역설적인 말이고 솔직하지 못한 반응이다. 현대인의 가장 큰 관심사이고 꿈이고 목표가 돈이니까 말이다. 예전에 어떤 설문 조사에서는 요즘 중/고..

1. 나도 경제적 자유 파이낸셜 프리덤을 성공할 수 있다 그랜트 사바티어 40대 은퇴를 꿈꾸는 '파이어족'으로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법! '당신의 시간은 돈보다 더 가치 있다!' 책 안에서는 40대 은퇴를 말하지 않는다. 물론 40대 은퇴도 대단히 매력적이지만 주로 30대 초중반에 이른 은퇴를 결심한 사람들이 어떤 삶을 살 수 있는지에 대해서 주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나도 살면서 가끔씩 생각은 해 보았다. 평일 낮에 시내든 어디든 외근이나 출장을 갈 때면 거리에 다니는 저 많은 차들, 특히 나 같은 출장이나 외근으로 보이지는 않는 많은 사람. 저들은 어떤 삶을 살고 있는 것일까? 나는 과연 이 다람쥐 쳇바퀴 같은 이 직장인의 삶을 벗어나서 평일 낮에 자유롭게 다닐 수 있을까? 아니 저들이 어떤 기분일..

1. 부의 서행차선과 추월차선 엠제이 드마코 부의 추월차선 성공한 사람들의 바이블(?)이라 할 만큼 많이 거론되는 책. 그리고, '성공하려면 사업을 해라' 이 한마디로 그냥 요약 당하는 책. 그만큼 반박도 많이 당하는 책. 부의 추월차선. 생각해 보면 너무나 당연한 얘기다. 돈 벌려면 사업을 해라는 한 마디로 요약된다고 얘기하지만, 월급쟁이로 부자가 될 수는 없으니 너무나 당연한 얘기 아닌가. 하지만 사람들은 왜 그러지 않지? 당연한 것을? 그래... 세상은 당연한 것들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아니 당연한 것들이 있지만 사람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아니 그렇게 하지 못한다. 왜냐구? 사업을 해라구? 말은 쉽지...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따박따박 나오는 월급 받으면서 소시민의 삶을 사는 것이다. 죽을..